Annyeong Korea 메인 배너

감성으로 배우는 한국어와 K-문화 🌸
Learn Korean and Korean Culture through Emotion & K-Content

📂 카테고리 바로가기 | Category Quick Menu
🍱 K-Food | 한식 🎬 K-Drama & K-Movie | 드라마·영화 🪄 Learn Korean | 한국어 배우기 🌸 Daily Korea | 한국 감성 일상 📘 Korean Travel & Manners | 여행·매너 🎤 K-Pop | 케이팝 이야기 📘 About | 블로그 소개

헷갈리기 쉬운 한국어 표현 5가지 – 원어민도 자주 틀리는 말들!Korean has many expressions that even native speakers confuse.

2025. 4. 13. 20:49✍️ Learn Korean

 

 

💬 서론

한국어는 배우기 쉬운 언어 같으면서도,
미묘한 뉘앙스나 발음의 차이 때문에
원어민조차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습니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전혀 다른 뜻인 단어들을 구분하기 어렵죠.

오늘은 원어민도 실수하는
헷갈리기 쉬운 한국어 표현 5가지
예문과 함께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English Summary (Intro):
Korean has many expressions that even native speakers confuse.
This post introduces 5 commonly confused Korean expressions—like 되다 vs 돼 and 맞추다 vs 맞히다—to help you sound more natural when speaking Korean!

 

🧠 자주 헷갈리는 한국어 표현 5선


1️⃣ 되다 vs. 돼

✅ 맞는 표현:

✔️ 나도 가게 돼서 기뻐.
✔️ 잘 되어야 할 텐데…

❌ 틀린 표현:

✖️ 나도 가게 기뻐.
✖️ 잘 되여야 할 텐데…

💡 설명:

‘되다’는 원형, ‘돼’는 되다의 활용형입니다.
‘돼’는 ‘되어’의 준말로 쓰일 수 있고, ‘되’는 거의 쓰이지 않아요.


2️⃣ 데 vs. 대

✅ 맞는 표현:

✔️ 그 사람이 그렇게 말했. (들었다는 의미)
✔️ 그 사람을 처음 본 가 여기야. (장소/경험)

❌ 틀린 표현:

✖️ 그 사람이 그렇게 말했.
✖️ 처음 본 가 여기야.

💡 설명:

‘대’는 전달 표현 (“~라고 해”)
‘데’는 경험/배경 정보 표현 (“~더라”)
→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3️⃣ 있다가 vs. 이따가

✅ 맞는 표현:

✔️ 이따가 만나자. (조금 후에)
✔️ 거기 있다가 나와. (어디에 계속 머무르다)

❌ 틀린 표현:

✖️ 거기 이따가 나와.
✖️ 있다가 보자. (미묘하게 어색)

💡 설명:

  • ‘있다가’는 어디에 존재하다
  •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후

4️⃣ 맞추다 vs. 맞히다

✅ 맞는 표현:

✔️ 정답을 맞혔어.
✔️ 일정을 맞췄어.

❌ 틀린 표현:

✖️ 정답을 맞췄어.
✖️ 일정을 맞혔어.

💡 설명:

  • 맞히다 = 정답을 알아맞히다 (퀴즈, 시험)
  • 맞추다 = 시간/일정/높이 등을 조정하다
    → 발음은 비슷하지만 뜻이 다름!

5️⃣ -ㄹ게요 vs. -겠습니다

✅ 맞는 표현:

✔️ 제가 할게요. (내가 결정한 의지)
✔️ 제가 하겠습니다. (격식 있고 공손)

❌ 틀린 사용 예는 없지만, 상황 구분이 중요!

💡 설명:

  • -ㄹ게요: 내가 스스로 결정해서 행동함
  • -겠습니다: 의지 표현 + 격식 있는 상황에 적합
    → 격식/비격식 구분 필요!

English Reference Section:
Here’s a quick guide to the 5 Korean expressions:

  1. 되다 vs 돼 → "to become" vs. a conjugated form
  2. 데 vs 대 → "place/experience" vs. "he/she said…"
  3. 있다가 vs 이따가 → "stay there" vs. "a little later"
  4. 맞추다 vs 맞히다 → "to adjust/match" vs. "to guess correctly"
  5. -ㄹ게요 vs -겠습니다 → casual intention vs. formal commitment

These subtle differences can change the meaning of your sentence—so learning them helps you sound more like a native speaker!


💜 마무리

한국어 표현은 때론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나 쓰임새가 완전히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차이를 하나씩 알아가는 과정에서
한국어가 더 아름답고 입체적으로 느껴질 거예요.

💬 여러분은 어떤 표현이 가장 헷갈렸나요?
다른 궁금한 표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Which Korean expression is the most confusing to you?
Leave a comment below and share your own Korean learning story! 😊